![]() |
권리분석의 첫걸음 - 가압류와 근저당의 배당사례
부동산 거래 및 경매를 하든, 채권.채무관계에 얽혀 있든 '권리분분석' 은 기초 중의 기초입니다.
권리분석을 할 줄 알아야 별 사고 없이 부동산 매매나 경매를 할 수 있을 것이며, 또한 채권 채무관계에서 손해를 보지 않을 것입니다.
권리분석은 쉽게 말해서 권리 간의 우선순의 및 물권과 채권을 분석하는 일입니다.
오늘은 가압류와 근저당의 배당순위 사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
◆ 사례(등기부 상)
1순위 - 갑 : 가압류 500만원
2순위 - 을 : 근저당 1500만원
3순위 - 병 : 근저당 3000만원
※ 배당금 - 2000만원
가압류 채권자인 갑과 근저당 채권자 을,병은 동순위로서 각 채권액에 따라 동순위로서안분배당을 받게 되지만, 2순위 저당권자인 을은 3순위 저당권자 병에 우선하므로, 2순위 저당권자는 3순위가 받을 배당액으로부터 자기 채권이 만족 될 때까지 이를 흡수하여 변제 받는다.
따라서 위 배당할 금액(2000만원)을 가지고 1차 안분배당을 한 후 2차에서는 흡수 배당을 하게 된다.
◆ 1차 안분배당
* 가압류권자 갑- 2000만원× 500만원 / 500만원+1500만원+3000만원 = 200만원
* 근저당권자 을- 2000만원×1500만원/ 500만원+1500만원+3000만원 = 600만원
* 근저당권자 병- 2000만원×3000만원/ 500만원+1500만원+3000만원 =1200만원
◆ 2차 흡수배당
을은 병보다 앞선 저당권자인데 안분배당에서 600만원을 배당 받았지만, 자기 채권액 전액을 배당 받지 못하므로 병의 안분배당액으로부터 자기의 채권액을 만족시킬 때까지 이를 흡수(가져옴)하여 배당 받게 된다.
◆ 최종 배당액
갑 : 200만원
을 : 1500만원(600만원+900만원)
병 : 300만원(1200만원-900만원)
☞ 지금까지 권리분석의 한 분야로 배당순위에 대해 살펴봤습니다.
부동산 매매나 채권추심 등에서 각각 전문가에게 위임하여 일 처리를 하면 되지만
그에 따른 기초 지식이 있는 것과 없는 것과의 차이는 분명 있습니다.
경험과 지식을 쌓아야 실패할 확률을 줄일 수 있을 것입니다.
[참고]
채권추심 관련 무료상담 안내
나이스신용정보(주) - 금감원 허가업체
채권추심 / 자산관리 팀 - 1544 - 5686, 010 - 2205 - 5377(최병동 팀장)
'채권추심 달인되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못 받은 돈 받아주는 곳 (0) | 2015.11.06 |
---|---|
미수금(못 받은 돈) 회수의 정석 (0) | 2015.11.02 |
못받은 돈 회수실무 - 저당권과 근저당권 (0) | 2015.10.29 |
미수금회수 - 표현대리 행위 (0) | 2015.10.16 |
권리분석의 첫걸음 - 말소기준등기 (0) | 2015.10.13 |
신원보증의 효력 (0) | 2015.07.28 |
신용정보회사 엽무영역 (0) | 2015.07.18 |
못받은 돈(미수금) 회수방법 - 채무자 재산 압류절차 (0) | 2015.07.14 |
소송대리인이란? (3) | 2015.07.04 |
못받은 돈 회수방법 - 가압류 신청 (0) | 2015.07.02 |
![]() |
![]() |
![]() |
![]() |
![]() |
![]() |
![]() |